본문 바로가기
금융

달러 강세가 코인·해외주식에 미치는 영향 & 펀딩비 작동 원리 쉽게 정리하기

by 완전평범한직장인 2025. 5. 13.

코인
코인 아직도 잘 모르겠지만 공급량이 제한된다는 것이 포인트가 아닐까 ?

 

 

목차

     

    💵 달러 강세가 코인·해외주식에 미치는 영향 & 펀딩비 작동 원리 쉽게 정리하기

    강달러는 단순한 환율 문제가 아닙니다. 투자자의 포지션에 따라 손익이 갈리는 핵심 요인이며, 코인 선물 시장의 펀딩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1️⃣ 달러 강세란 무엇이며, 발생할까?

    달러 강세’미국 달러의 가치가 다른 통화 대비 높아지는 현상말합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 미국 기준금리 인상
    • 글로벌 불확실성 증가 → 안전자산 선호
    • 미국 경제지표 호조

    2022~2023연준(Fed)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기준금리를 0.25%에서 5.25%까지 인상했으며, 이로 인해 세계 자금이 달러로 몰리면서 원/달러 환율은 1,450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이는 한국, 일본, 신흥국 통화가 약세를 보이며 수입물가 급등과 자산시장 침체로 이어졌습니다.

     

     

    2️⃣ 달러 강세가 코인과 해외주식에 미치는 영향

    달러가 강세일수록 해외자산 투자자는 부담이 커집니다.
    1달러가 1,200원일 샀던 미국 주식이, 환율이 1,400원으로 오른 시점에서는 환차익을 얻을 있지만, 반대로 원화 환산 수익률은 줄어듭니다.

     

    또한 달러 강세는 코인 시장의 유동성 위축으로 이어집니다. 비트코인은 대표적인 달러 기반 거래 자산이며, 미국 기준금리가 올라 자금 조달 비용이 커지면 위험자산(코인 포함)대한 투자 심리가 위축됩니다. 국제결제은행(BIS)따르면, “달러 유동성 위축은 코인 시장의 하락 압력과 일치한다”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 실제 사례:
    2022달러 강세와 금리 인상 시기, 비트코인 가격은 68,000달러에서 16,000달러까지 하락했습니다.
    이는 단순 심리 요인 외에도 유동성 축소, 대출 청산, 펀딩비 역전 현상 등의 연쇄 작용에 따른 결과입니다.

     

     

    3️⃣ 펀딩비란 무엇인가? 작동 원리 쉽게 이해하기

    펀딩비(Funding Fee)코인 선물(무기한 계약) 시장에서 롱(Long)숏(Short) 포지션 가격 괴리를 조정하기 위한 수수료 개념입니다.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롱이 많을 : 포지션이 숏에게 펀딩비 지급
    • 숏이 많을 : 포지션이 롱에게 펀딩비 지급
    • 펀딩비가 +: 포지션이 비용 부담
    • 펀딩비가 -: 포지션이 비용 부담

    이는 8시간(일반적으로 UTC 기준 00:00, 08:00, 16:00)마다 발생하며, 보유량에 따라 자동 정산됩니다.

    예시:

    • 포지션 규모: $10,000
    • 펀딩비율: +0.01%
    • 시간당 수수료: $10 (롱이 숏에게 지급)

    제도는 현물 시장과 선물 시장의 가격 괴리줄이는 역할을 하며, 과도한 쏠림 매매를 방지합니다.

     

     

    4️⃣ 펀딩비는 어떻게 계산될까? (공식과 예시)

    펀딩비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복사편집
    펀딩비 = 포지션 금액 × 펀딩비율

    펀딩비율은 거래소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요소로 산정됩니다.

    1. 프리미엄 지수 (선물-현물 가격 차이)
    2. 이자율 차이 (롱-차등)
    3. 지정된 기준 수수료 비율

    예를 들어, 펀딩비율이 0.03%, 포지션이 50,000달러일 경우, 시간당 펀딩비는 15달러입니다.
    즉, 24시간 포지션 유지 하루에 45달러를 부담하게 됩니다.

    📌 참고: Binance, Bybit 주요 거래소에서는 펀딩비율을 실시간으로 공개하며, 때때로 -0.5%까지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5️⃣ 거래소마다 펀딩비가 다를까?

    펀딩비는 거래소별 유동성, 트레이더 구성, 시장 심리따라 다르게 형성됩니다.

    • Binance: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하고 대형 기관 참여로 펀딩비 변동이 상대적으로 안정적
    • Bybit: 개인 트레이더 중심, 종종 극단적인 또는 쏠림으로 펀딩비 급변
    • OKX, Bitget: 거래쌍에 따라 펀딩비율과 정산 주기가 다름

    또한 일부 거래소는 펀딩비 캡(Cap) 정책으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펀딩비가 올라가지 않도록 제한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차이는 거래소 차익거래 기회만들기도 하지만, 초보자는 펀딩비 정책을 꼼꼼히 확인해야 불필요한 손실을 피할 있습니다.

     

     

    마무리: 달러, 펀딩비, 포지션은 연결되어 있다

    달러 강세는 단순한 외환 문제가 아니라, 위험자산 투자 심리, 코인 선물 포지션, 펀딩비 변화직결되는 핵심 경제 지표입니다.
    펀딩비는 포지션에 따라 꾸준한 수익 또는 지속적인 손실만들어낼 있으며, 거래소별 구조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전략적인 차익매매가 가능해집니다.

    📌 Tip

    • 펀딩비 수익을 노리는 전략강세장에서 위험
    • 펀딩비 차이 활용한 거래소 헷지 전략가능
    • 금리와 달러 흐름을 보면, 코인과 해외주식의 방향성 예측에 도움

     

     

    📚 참고자료

    • BIS Working Paper No. 1078 (2023)
    • Binance & Bybit 공식 펀딩비 가이드
    •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2022
    • IMF World Economic Outloo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