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시장에서 VI(Volatility Interruption, 변동성 완화장치)는 주가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여 투자자 보호와 시장 안정성을 도모하는 제도입니다. VI는 정적 VI와 동적 VI로 구분되며, 종목별로 적용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 정적 VI와 동적 VI의 차이
- 정적 VI: 기준 가격 대비 일정 비율(예: 10%) 이상 상승 또는 하락 시 발동됩니다. 기준 가격은 일반적으로 전일 종가이며, 발동 시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되어 거래가 일시 중단됩니다.
- 동적 VI: 직전 체결가 대비 일정 비율(예: 2~6%) 이상 급변할 경우 발동됩니다. 이는 순간적인 가격 급등락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로, 발동 시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됩니다.
🔹 종목별 VI 적용 기준의 차이
VI 발동 기준은 종목의 유동성, 거래량, 변동성 등을 고려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거래량이 적거나 변동성이 낮은 종목은 VI 발동 기준이 높게 설정되어 동일한 가격 변동에도 VI가 발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방지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조치입니다.
🔹 코스피와 코스닥의 VI 적용 차이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 모두 VI 제도를 운영하지만, 시장 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발동 기준이나 적용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스닥은 중소형주 중심으로 변동성이 높아 VI 발동 기준이 코스피보다 민감하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 ETF에 대한 VI 적용 여부
ETF(상장지수펀드)도 VI 제도의 적용 대상입니다. 특히, 해외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원자산의 급격한 변동에 따라 국내 시장에서 큰 폭의 가격 변동이 발생할 수 있어 VI가 발동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증시 급등 시 이를 추종하는 국내 ETF에 VI가 발동된 사례가 있습니다.
🔹 계룡건설 등 특정 종목의 VI 미발동 이유
계룡건설과 같은 종목에서 VI가 발동되지 않는 이유는 해당 종목의 유동성, 거래량, 변동성 등의 특성에 따라 VI 발동 기준이 높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동일한 가격 변동이라도 종목의 특성에 따라 VI 발동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요약
- 정적 VI: 기준 가격 대비 일정 비율 이상 변동 시 발동
- 동적 VI: 직전 체결가 대비 일정 비율 이상 급변 시 발동
- 종목별 차이: 유동성, 거래량, 변동성 등에 따라 VI 기준 상이
- 시장별 차이: 코스피와 코스닥의 VI 적용 방식에 차이 존재
- ETF 적용: ETF도 VI 적용 대상이며, 원자산 변동에 따라 발동 가능
- 특정 종목 미발동: 종목 특성에 따라 VI 발동 기준이 높게 설정될 수 있음
VI 제도는 시장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종목 및 시장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특정 종목에서 VI가 발동되지 않는 것은 해당 종목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 강세가 코인·해외주식에 미치는 영향 & 펀딩비 작동 원리 쉽게 정리하기 (2) | 2025.05.13 |
---|---|
환율과 금리의 관계, 그리고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 (2) | 2025.05.12 |
미국 금리와 한국 경제의 상관관계 쉽게 이해하기 (1) | 2025.05.11 |
코인 해외거래소와 선물거래 완전정복 (2) | 2025.05.10 |
2025년 경제 전망 & 투자 전략 (2) | 2025.05.09 |